본문 바로가기

한예

程顥先生詩 “秋日偶成” 程顥先生詩 “秋日偶成” / 69cm x 69cm 富貴不淫貧賤樂 男兒到此是豪雄 부귀에 흐트러지는 일 없고, 빈천해도 굴하지 않으매 남아 이 경지에 도달하면 참 영웅호걸이 아니겠는가. 閑來無事不從容 睡覺東窓日已紅 萬物靜觀皆自得 四時佳興與人同 道通天地有形外 思入風雲變態中 “富貴不淫貧賤樂 男兒到此是豪雄” 한가로워진 뒤 아무 일에나 마음 차분하지 않은 일 없고 아침에 눈 떠보면 동창에는 이미 햇빛 붉게 비친다. 우주만물을 고요히 살펴보면 모두 제 분수대로 편안하고 네 계절의 취향은 인간과 일체가 되어 바뀐다. 우리가 믿는 도는 천지간 형체 없는 것에 까지 행해지고. 모든 것 자연의 섭리 안에 있음을 알 때 내 마음 달관된다. “부귀에 흐트러지는 일 없고. 빈천해도 굴하지 않으매 남아 이 경지에 도달하면 참 영웅호.. 더보기
蘇東坡 “後赤壁賦”句 蘇東坡 “後赤壁賦”句 / 70cm x 56cm 劃然長嘯 草木震動 山鳴谷應 風起水涌 문득 긴 휘파람 소리 나더니 초목이 진동하고, 산의 울림이 골짜기에 메아리치며 바람이 일고 강물이 솟는 듯하였다. 더보기
李白詩 “獨坐敬亭山” 李白詩 “獨坐敬亭山” / 70cm x 56cm 衆鳥高飛盡 孤雲獨去閑 相看兩不厭 只有敬亭山 뭇새는 무리를 지어 높이다 날고, 외로운 구름은 홀로 한가로이 가네. 서로 보아도 둘은 싫지 않으니, 오로지 敬亭山 뿐이네. 더보기
“菜根譚”句 “菜根譚”句 / 70cm x 68cm 德隨量進하고 量由識長하다 덕은 도량에 따라서 발전하고 도량은 식견으로 말미암아 자라난다. “德隨量進하고 量由識長하나니” 故로 欲厚其德이면 不可不弘其量이요 欲弘其量이면 不可不大其識이리라 “덕은 도량에 따라서 발전하고 도량은 식견으로 말미암아 자라난다.” 그러므로 그 덕을 두터이 하고자 한다면 그 도량을 넓히지 않을 수 없고, 그 도량을 넓히고자 한다면 그 식견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. 더보기
陶淵明詩句 陶淵明詩句 / 69cm x 69xm 盛年不重來 一日難再晨 及時當勉勵 歲月不待人 성년은 거듭오지 않고, 하루는 새벽이 두 번 있기 어려우니, 때에 미쳐 마땅히 학문에 힘써라. 세월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. 더보기
菜根譚 句 菜根譚 句 / 70cm x 58cm 風斜雨急處엔 要立得脚定하고 花濃柳艶處엔 要著得眼高하며 路危徑險處엔 要回得頭早니라. 바람이 비껴 불고 비가 급한 곳에서는 두 다리를 바르게 세워 안정을 기하고 꽃이 무르익고 버들이 탐스러운 곳에서는 눈을 높은 데 두고, 길이 위태롭고 험한 곳에서는 머리를 신속히 돌려야 하느니라. 더보기
“韓詩外傳”句 “韓詩外傳”句 / 70cm x 61cm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은 이를 가만히 두지 아니하고, 자식은 부모를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. 더보기
明心寶鑑 “省心篇”句 明心寶鑑 “省心篇”句 / 70cm x 60cm 水至淸則無魚하고 人至察則無徒니라 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고, 사람이 지극히 살피면 친구가 없느니라 家語云 “水至淸則無魚하고 人至察則無徒니라.” 「가어(家語)」에 말하였다. “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고, 사람이 지극히 살피면 친구가 없느니라.” 더보기